bps, sps, bits/sec, pps Data Rate, Bit Rate, Baud, Baud Rate, Symbol Rate 데이터율, 전송률, 비트율, 비트레이트, 보오, 보율, 심볼률, 심벌률 |
(2020-07-03) |
데이터 속도, Transmission Rate, 전송 속도, 전송율, Modulation Rate, 변조 속도, 심볼율, 심벌율 |
1. 정보 전송 률 (Data Transfer Rate) / 전송 속도 (Transmission Rate)
ㅇ 데이터율 (Data Rate) - 데이터(비트,심볼,패킷 등)가 전송되는 속도(비트율 또는 심볼률 등)를 총칭
ㅇ 비트율 Rb - 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 (bps, bits/sec, Bit Per Second) . Rb = 1/Tb (Tb: 비트 구간,비트 주기)
ㅇ 심볼율 Rs - 초당 전송되는 심볼 수 (sps, symbols/sec) . Rs = 1/Ts (Ts: 심볼 구간,심볼 주기) .. 하나의 심볼은, k개(k = log₂M) 비트를 하나로 모아놓은 단위 임
ㅇ 심볼 비트율 Rsb - 심볼과 함께 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 (bps, bits/sec) . Rsb = k Rs = k/Ts = (log₂M)/Ts .. 심볼주기 Ts 동안에, k = log₂M 개의 비트들이 있음 .. ( M = 2k, k = log₂M, 심볼주기 : Ts , 개별 비트 간격 : Tb = 1/Rb = Tb/k )
※ [참고] 심볼율 Rs과 대역폭 W과의 관계 - W = Rs (1 + α) . 여기서, α는 펄스 형태에 따른 인자 (상승여현 펄스의 롤오프 인자 등)
2. 보오(baud) 또는 변조율(modulation rate) 또는 심볼율(symbol rate)
ㅇ 보오는 원래 전보 전송에서 사용되던 기술 용어로써, - 단위 시간(신호 존재 구간) 당 변조된 신호 상태의 변화율 = 변조 속도(Modulation Rate)
ㅇ 통상, 초당 전송 비트의 수를 의미하는 bps(bit/sec)와 같지만, 항상 같지는 않음 - 하나의 디지털 심볼이라는 변조된 상태를 표현하는데에는, . 여러 개의 비트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
결국, - (변조된 후의) 통신 채널 상에서 관측되는 보오는, 전송 상태의 변화율로써, - (변조하기 전의) 원천 소스에서 나오는 비트 전송율(bps)과는, 다를 수 있음.
ㅇ 보오(J.M.E. Baudot, 1845~1903)라는 프랑스 전신 엔지니어의 이름에서 유래되어 명명되었음
3. 정보전송률의 한계 ※ 최대 전송률 ☞ 채널용량 참조 - 심볼 또는 비트 전송률의 한계를 결정하는 요소(파라미터) . 전송 대역폭, 잡음, 신호전력
4. [참고용어] ㅇ 초당 패킷 전송률 pps (Packet Per Second) - 라우터, 스위치 등의 장치가 초당 패킷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 즉 성능에 대한 척도 ㅇ 전송률 서비스 등급 관련 ☞ 서비스 카테고리(ATM분야) 참조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기본 동작 원리 (0) | 2020.10.24 |
---|---|
임베디드, 펌웨어 개발자가 되고싶다면, 임베디드시스템 SW 개발과정 (1) | 2020.10.24 |
임베디드 시스템의 변화, 하드웨어의 필요성 (0) | 2020.10.24 |
PC와 임베디드는 개발환경이 다르다! (0) | 2020.10.24 |
프로그래밍 언어 공부 순서 (입문자는 읽어보세요) (0) | 2020.03.13 |
댓글